728x90
1.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
2. 같은 종류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
장점 : 빠른 접근 가능
단점 : 추가/삭제가 쉽지 않음
- 1차원 배열
data = [1, 2, 3, 4, 5]
print(data)
- 2차원 배열
data2 = [[1, 2, 3], [4, 5, 6], [7, 8, 9]]
print(data2)
# 예제 dataset리스트에서 전체 이름 안에 'M'의 갯수?
dataset = [
'Moran, Mr.Owen',
'Brand, Mr.James',
'McCarthy, Mr.Timothy J'
]
m_count = 0
for data in dataset:
for idx in range(len(data)):
if data[idx] == 'M':
m_count += 1
print(m_count)
반응형
'CS > 자료구조_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📌 트리(Tree) (0) | 2021.05.30 |
---|---|
[자료구조] : 연결리스트(Linked List, Double Linked List) (0) | 2021.05.09 |
[자료구조] : 스택(선형) (0) | 2021.05.05 |
[자료구조] : 큐(선형), 힙 (0) | 2021.05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