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문제 설명
스마트폰 전화 키패드의 각 칸에 다음과 같이 숫자들이 적혀 있습니다.
이 전화 키패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숫자만을 입력하려고 합니다.
맨 처음 왼손 엄지손가락은 * 키패드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# 키패드 위치에서 시작하며,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 이동 한 칸은 거리로 1에 해당합니다.
- 왼쪽 열의 3개의 숫자 1, 4, 7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.
- 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 3, 6, 9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.
- 가운데 열의 4개의 숫자 2, 5, 8, 0을 입력할 때는 두 엄지손가락의 현재 키패드의 위치에서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.
4-1. 만약 두 엄지손가락의 거리가 같다면,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, 왼손잡이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.
순서대로 누를 번호가 담긴 배열 numbers,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 지를 나타내는 문자열 h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각 번호를 누른 엄지손가락이 왼손인 지 오른손인 지를 나타내는 연속된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[제한사항]
- number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,000 이하입니다.
- numbers 배열 원소의 값은 0 이상 9 이하인 정수입니다.
- hand는 "left" 또는 "right" 입니다.
- "left"는 왼손잡이, "right"는 오른손잡이를 의미합니다.
-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L,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R을 순서대로 이어붙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.
입출력 예
numbers | hand | result |
[1, 3, 4, 5, 8, 2, 1, 4, 5, 9, 5] | "right" | "LRLLLRLLRRL" |
[7, 0, 8, 2, 8, 3, 1, 5, 7, 6, 2] | "left" | "LRLLRRLLLRR" |
[1, 2, 3, 4, 5, 6, 7, 8, 9, 0] | "right" | "LLRLLRLLRL" |
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
입출력 예 #1
순서대로 눌러야 할 번호가 [1, 3, 4, 5, 8, 2, 1, 4, 5, 9, 5]이고, 오른손잡이입니다.
왼손 위치오른손 위치눌러야 할 숫자사용한 손설명
* | # | 1 | L | 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. |
1 | # | 3 | R | 3은 오른손으로 누릅니다. |
1 | 3 | 4 | L | 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. |
4 | 3 | 5 | L | 왼손 거리는 1,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. |
5 | 3 | 8 | L | 왼손 거리는 1, 오른손 거리는 3이므로 왼손으로 8을 누릅니다. |
8 | 3 | 2 | R | 왼손 거리는 2, 오른손 거리는 1이므로 오른손으로 2를 누릅니다. |
8 | 2 | 1 | L | 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. |
1 | 2 | 4 | L | 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. |
4 | 2 | 5 | R | 왼손 거리와 오른손 거리가 1로 같으므로, 오른손으로 5를 누릅니다. |
4 | 5 | 9 | R | 9는 오른손으로 누릅니다. |
4 | 9 | 5 | L | 왼손 거리는 1,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. |
5 | 9 | - | - |
따라서 "LRLLLRLLRRL"를 return 합니다.
입출력 예 #2
왼손잡이가 [7, 0, 8, 2, 8, 3, 1, 5, 7, 6, 2]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"LRLLRRLLLRR"이 됩니다.
입출력 예 #3
오른손잡이가 [1, 2, 3, 4, 5, 6, 7, 8, 9, 0]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"LLRLLRLLRL"이 됩니다.
#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67
68
69
70
71
72
73
74
75
76
77
78
79
80
81
82
83
84
85
86
87
88
89
90
91
92
93
94
95
96
97
|
import java.util.*;
// 0. 4행 3열 짜리 키패드 메트릭스를 만든다.
// 1.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
// 2.왼쪽 열의 3개의 숫자 1, 4, 7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
// 3.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 3, 6, 9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
// -> left, right cursor
// 4.가운데 열의 4개의 숫자 2, 5, 8, 0을 입력할 때는 두 엄지손가락의 현재 키패드의 위치에서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을 사용
// -> 거리 구하는 공식 이용
// 4-1. 만약 두 엄지손가락의 거리가 같다면,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, 왼손잡이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.
class Solution {
public String solution(int[] numbers, String hand) {
String answer = "";
String resStr = "";
// 키패드 다이얼을 만들어준다.
int [][] key_matrix = new int[4][3];
HashMap<Integer, String> map = new HashMap<>();
int cnt = 1;
for (int i = 0; i < key_matrix.length; i++) {
for (int j = 0; j < key_matrix[i].length; j++) {
key_matrix[i][j] = cnt;
map.put(cnt, i+"_"+j);
cnt++;
}
}
key_matrix[3][0] = -1; // * -> -1, map에서의 키값은 10
key_matrix[3][1] = 0; // map에서의 키값은 11
key_matrix[3][2] = -2; // # -> -2, map에서의 키값은 12
// 왼쪽, 오른쪽 시작점
int [] left_cursor = {3, 0};
int [] right_cursor = {3, 2};
for (int i=0; i<numbers.length; i++) {
// 왼쪽 커서가 움직여야되는 경우 : 1, 4, 7
if(numbers[i] == 1 || numbers[i] == 4 || numbers[i] == 7) {
String [] sVal = map.get(numbers[i]).toString().split("_");
left_cursor[0] = Integer.parseInt(sVal[0]); // 왼쪽 행 값
left_cursor[1] = Integer.parseInt(sVal[1]); // 왼쪽 열 값
resStr += "L";
}
// 오른쪽 커서가 움직여야되는 경우 : 3, 6, 9
else if(numbers[i] == 3 || numbers[i] == 6 || numbers[i] == 9) {
String [] sVal = map.get(numbers[i]).toString().split("_");
right_cursor[0] = Integer.parseInt(sVal[0]); // 오른쪽 행 값
right_cursor[1] = Integer.parseInt(sVal[1]); // 오른쪽 열 값
resStr += "R";
}
// 가운데인 경우 : 2, 5, 8, 0
else {
int n_val = numbers[i];
if (numbers[i] == 0) {
n_val = 11;
}
String [] sVal = map.get(n_val).toString().split("_");
int row = Integer.parseInt(sVal[0]);
int col = Integer.parseInt(sVal[1]);
// left에서 중앙의 위치한 값 까지의 거리를 구한다.
int temp_val = row - left_cursor[0];
int temp_left_row = (temp_val > 0 ? temp_val : temp_val*(-1));
temp_val = col - left_cursor[1];
int temp_left_col = (temp_val > 0 ? temp_val : temp_val*(-1));
int left_dist = temp_left_row + temp_left_col;
// right에서 중앙의 위치한 값 까지의 거리를 구한다.
int temp_val2 = row - right_cursor[0];
int temp_right_row = (temp_val2 > 0 ? temp_val2 : temp_val2*(-1));
temp_val2 = col - right_cursor[1];
int temp_right_col = (temp_val2 > 0 ? temp_val2 : temp_val2*(-1));
int right_dist = temp_right_row + temp_right_col;
// left or right 중 가까운 녀석의 좌표를 갱신한다.
// 같을 경우 hand의 값으로..
if (left_dist < right_dist || (left_dist == right_dist && hand.equals("left"))) {
left_cursor[0] = row;
left_cursor[1] = col;
resStr += "L";
} else if(left_dist > right_dist || (left_dist == right_dist && hand.equals("right"))) {
right_cursor[0] = row;
right_cursor[1] = col;
resStr += "R";
}
}
}
answer = resStr;
return answer;
}
}
|
cs |
반응형
'CS > 알고리즘_KAKAO BLIND RECRUIT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19 KAKAO BLIND RECRUITMENT : 길 찾기 게임 (0) | 2021.09.29 |
---|---|
2020 KAKAO BLIND RECRUITMENT : 기둥과 보 설치 (0) | 2021.09.28 |
2021 KAKAO BLIND RECRUITMENT : 광고 삽입 (0) | 2021.09.27 |
2018 KAKAO BLIND RECRUITMENT : [1차] 비밀지도 (0) | 2021.06.27 |
로또의 최고 순위와 최저 순위 (0) | 2021.06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