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S/알고리즘_문제풀이(파이썬)

주사위 게임

Jedy_Kim 2021. 8. 16. 11:47
728x90

문제 설명

XX 모바일 보드게임은 같은 크기의 칸으로 구분된 직선 모양의 게임 보드와 특별한 주사위 3개를 사용해서 진행합니다. 주사위는 각각 1부터 S1, S2, S3까지의 숫자 중 하나가 나오며, 3개의 주사위를 동시에 굴려 나온 숫자의 합만큼 캐릭터를 이동시킵니다. 게임 보드의 몇몇 칸에는 몬스터가 있으므로, 캐릭터는 도착한 칸에서 몬스터를 만나게 될 수도 있습니다.
다음은 S1 = 2, S2 = 3, S3 = 4인 경우의 예시입니다.

위 그림에서 별은 캐릭터이며, 붉은 사각형은 몬스터입니다. 캐릭터는 1번 칸에 있습니다.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숫자가 1, 1, 2라면 캐릭터는 총 4칸을 이동하여 5번째 칸에 도착해 몬스터를 만납니다. 반면에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숫자가 2, 2, 1이라면 총 5칸을 이동한 캐릭터는 6번째 칸에 도착해 몬스터를 만나지 않습니다. 위 예시에서 주사위를 한 번만 굴렸을 때, 주사위 눈의 합만큼 이동해 도착한 칸에서 몬스터를 만나지 않을 확률은 0.5입니다.

몬스터의 위치를 담고 있는 배열 monster와 각 주사위에서 나올 수 있는 최대 숫자 S1, S2, S3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1번 칸에 위치한 캐릭터가 주사위를 한 번만 굴려 나온 눈금의 합만큼 이동해서 도착한 칸에 몬스터가 없을 확률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. 단, return 값은 몬스터를 만나지 않을 확률에 1000을 곱한 후 소수부는 버리고 정수 부분만 return 하세요.

제한사항

  • monster는 몬스터의 위치를 담은 배열이며 길이(몬스터의 개수)는 1 이상 99 이하입니다.
  • monster의 각 원소는 현재 몬스터의 위치를 나타내며, 모든 몬스터의 위치는 2 이상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.
  • 같은 위치의 몬스터가 여러 번 중복해서 주어지지 않으며, 한 칸에는 한 마리의 몬스터만 있습니다.
  • 각 주사위를 던져 나올 수 있는 수의 최댓값 S1, S2, S3는 다음과 같습니다.
    • 2 ≤ S1 ≤ 30, 2 ≤ S2 ≤ 30, 2 ≤ S3 ≤ 40, S1, S2, S3는 자연수
  • 몬스터를 만나지 않을 확률에 1000을 곱한 후 소수부는 버리고 정수 부분만 int형으로 return 해주세요.

입출력 예

monster S1 S2 S3 result
[4,9,5,8] 2 3 4 500
[4,9,5,8] 2 3 3 555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 #1
몬스터의 위치는 문제에 주어진 예시와 같습니다.
몬스터가 없는 칸에 도착할 확률은 1/2로 0.5이며 1000을 곱한 후 소수부를 버리면 500이 됩니다.

입출력 예 #2
몬스터의 위치는 문제에 주어진 예시와 같습니다.
몬스터가 없는 칸에 도착할 확률은 5/9로 0.55555... 이며 1000을 곱한 후 소수부를 버리면 555가 됩니다.

 

#코드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def solution(monster, S1, S2, S3):
    
    answer      = -1
    tot_list    = []
    monster_cnt = 0
    
    list_s1 = list(range(1, S1 + 1))
    list_s2 = list(range(1, S2 + 1))
    list_s3 = list(range(1, S3 + 1))
    
    for s1 in list_s1:
        for s2 in list_s2:
            for s3 in list_s3: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tot_list.append(s1 + s2 + s3 + 1)    
    
    for ele in tot_list:
        if ele in monster:
            monster_cnt += 1
    
    mother_val = len(tot_list)
    child_val  = mother_val - monster_cnt  
    answer = (child_val / mother_val) * 1000
    
    return int(answer)
cs

 

반응형

'CS > 알고리즘_문제풀이(파이썬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하노이의 탑  (0) 2021.08.16
카펫  (0) 2021.08.16
N-Queen  (0) 2021.08.13
사탕 담기  (0) 2021.08.13
세 소수의 합  (0) 2021.08.13